2008년 9월 16일 화요일

로쿠노미야의 공주 - 기타무라 가오루

1992년 도쿄고센샤
1999년 문고판 (사진)

<나 시리즈> 4번째 작품입니다. 전작 <가을 꽃>에 이어 이번에도 장편소설입니다.

일본문학 특히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에 대해 공부를 좀 한 사람이라면 이 책의 제목을 보고 '감'이 올지도 모르겠고, 아니라면 '뭔 소리여 시방'이라고 말겠죠.

저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하면 <라쇼몽>이 제일 먼저 떠오릅니다. 영화 쪽이더 유명할지 모르지만, 그 영화의 원작자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입니다. 그리고 아쿠타가와의 친구 중 한명이 '기쿠치 칸'이란 작가입니다. 기쿠치 칸은 대중소설가로 유명했으며 <두 번째 키스>는 도서관에서 보고 '생각보다' 재밌게 읽었던 연애소설입이었습니다. 아쿠타가와 상이네 나오키 상이네 문예춘추사네 어쩌구는 뭐 그다지 중요하다고 할 수 없으니 여기선 생략합니다.

이래서 1900년대 초의 일본문학에 관한 사전지식이 없다면 독서가 좀 고통스럽습니다. 저도 읽으면서 아는 사람이라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기쿠치 칸, 이 둘 뿐이었습니다. 뭐 이 둘이 가장 언급이 많으니 이 두사람만 알면 상관은 없습니다만, 그 밖에도 다양한 작가이름이 나오는터라 '사전지식이 있다면 더 재밌게 읽었을텐데' 아쉬움이 컸습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쓴 <로쿠노미야의 공주>는 <금석물어>(옛 일본설화집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제19장에 나오는 설화를 차용한 소설입니다. 원래 설화 내용은 이하와 같습니다.

(편의상 현대 우리나라로 바꿔봤습니다.)

육궁(로쿠노미야)라는 곳에 부모를 여의고 가정부와 사는 세상물정 모르는, 졸라 이쁜 병약 미소녀가 있었습니다. 어느날 가정부가 소녀한테 너 데리고 가려는 총각이 있다 하면서 소녀를 결혼시켜려고 합니다. 뻔하죠. 선채로 고개를 숙이면 자기 발조차 안 보이는 그런 돼지가 오리라 생각했지만, 아 글쎄 소녀 앞에 나타난 남성은, 꽃미남. 부자집 도련님! 돈 없는 소녀한테는 그야말로 왕자님! 횡재로세! 횡재로세! 그리고 둘은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로 끝나면 재미가 없겠죠?

그러나 20살 먹은 왕자는 군대를 가야했습니다. (빽과 돈도 안 통했나 봅니다.)
그래서 눈물을 흘리며 죽을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소녀를 두고 왕자는 군대에 갑니다.

but! 인생은 오리무중!
왕자는 근처 고급 찻집 '별다방'에서 서빙 보던 여자와 눈이 맞아버립니다.
으싸으싸 애도 낳고 결혼도 한 왕자.

제대해서 와보니 기다린다던 미소녀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없습니다.
딴 놈팽이와 눈이 맞아 사라졌는지, 어찌됐는지 알 길이 없는터라 소녀를 찾는 왕자.
결국 소녀를 찾았지만 소녀는 왕자님 품안에서 숨이 꼴까닥합니다.

경사로세~ 경사로세~
-完-

이걸 바탕으로 아쿠타가와 버전 <로쿠미야의 공주>는 중반까지는 거의 똑같다가 후반부와 마무리가 좀 다릅니다. 그래서 이번 장편의 테마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왜? 로쿠노미야의 공주라는 소설을 썼는가?'입니다.

일상 미스터리로 시작해서 이제는 문학 미스터리(?)까지 와버렸습니다. 주인공 나는 졸업논문으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준비하면서 이 호기심에 이끌려 이런 저런 조사를 하게 됩니다. 당시의 문헌을 참고해서 하나의 가설을 세웠는데, 사실 주인공 내가 세운 가설은 '명탐정 엔시'는 진즉에 깨달은 가설입니다. 와트슨이 열심히 추리했더니, 홈즈가 '이제 안거야?' 뭐 이런 형국이 되버리는 거죠. 와트슨은 스타일은 좀 구기겠지만, 어쨌든 스스로 노력해서 얻은 추리결과이니 그건 그것대로 매력적인 만족입니다.

근데 사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소설 중에 가장 미스터리어스한 녀석은 <김 장군>이라고 생각합니다. 오잉? 김 장군? 예, 맞습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에서 계월향과 함께 고니시 유키나가 목을 땄다는 '김응서' 장군을 일컬어 김 장군이라고 한 겁니다. 몇 페이지 안되는 <김 장군> 단편은 조선시대 <임진록>을 참고해서 사용한 작가의 창작부분을 일부 제외하고는 임진록을 거의 그대로 인용해서 썼습니다. 단편에 들어간 요소를 다 따져보면 <임진록>의 다른 버전을 참고한 걸로 보이는데 그런 이본 대부분은 한글버전. 당연 아쿠타가와가 한국어를 할 리가 없겠죠. 게다가 그가 한반도는 그냥 스쳐지나가듯 지나간 것이 전부. 대체 그는 어디서 정보를 입수해서 <김 장군>을 집필한 걸까요? 그리고 이 단편이 나온 시기는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다음입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기쿠치 칸이 지진의 원인으로 공산당과 조선인이라는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고, 여기서 아쿠타가와는 섬나라 정부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멍청한 지식인의 전형이었습니다. 그런 멍청이가 왜 <김 장군>이란 단편을 썼고, 단편 말미에는 역사의 상대성의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을까요? 창작동기, 마음의 변화, 소재를 어디서 얻었는가? 하는 여러 생각해 볼(미스터리) 요소가 많습니다. 일본녀석들 입장에서 <김 장군>은 별로 재미없을 미스터리겠죠. 오히려 우리나라 사람에게 더 재밌을 요소입니다. 반대로 <로쿠노미야의 공주>도 일본애들한테는 재밌을 요소겠지만, 우리한테는 그다지 흥미로운 요소는 아닙니다. 막말로 <로쿠노미야 공주>를 쓰건 볶아먹건 뭔 상관이야! 라고 말이죠. (모든 미스터리에 이런 질문 던져버리면 할 말이 없겠지만요.....)

다만,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기쿠치 칸의 우정과 이별 등은 보편적인 감성으로 접근할 수 있으니 이쪽에 초점을 맞추어 읽는 편이 좀 더 재밌는 독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김 장군>이야기는 고려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식민지 조선을 바라보는 일본문학>에 나온 이야기입니다.

*로쿠노미야는 지명이름이라고 하니 원래 일본어인 六の宮를 육궁으로 표기할 게 아니라 발음나는대로 로쿠노미야로 표기하는게 맞겠죠.

평점 5 / 10

댓글 없음: